지역경제 살린다, 지역사랑상품권이 이끌고, 마을기업이 밀고

2020년 12월 15일 by finance-info-news

    목차 (Content)
반응형

지역경제 살린다, 지역사랑상품권이 이끌고, 마을기업이 밀고,

 - 1 3,692억 원 예산 투입해 소비촉진→일자리확대→지역경제 활성화 선순환 -

- 지역사랑상품권 1 522억 원 지원해 15조 규모 발행, 4 4천여 개 지역일자리 창출 -

- 청년과 지역을 잇는 청년마을, 지역의 특수성 살린 마을기업 활성화로 내실 강화 -

 코로나19 침체된 지역경제를 살리기 위해 1 522 원을 지원해 지역사랑상품권발행을 늘리고, 4 4천여 개의 대상별 맞춤형 일자리 창출을 추진한다. 아울러 청년과지역을 연계해 정착을 돕는 ‘청년마을사업’을 확대하고 지역의 특성을 반영한 ‘마을기업’을 발굴· 성장시켜 지역 경제의 내실을 다진다. 

 행정안전부(장관 진영) 지역활력 제고를 위해 1 3,692  예산을 투입하여소비촉진→일자리확대→지역경제 활성화 선순환 구조를 만들겠다고 밝혔다. 

 

<①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에 1 522억 원 편성, 전국 15조 규모 판매 예정>

 먼저, 지역  소비를 활성화하고 소상공인 지원을 위해 ‘지역사랑상품권 발행지원 사업’에 국비 1 522 원을 지원하여 지난해 6,690억이었던 지원 예산을 57%(3,832) 늘린다. 

  2021년에는 231 지자체에서 지역사랑상품권을 발행할 예정이며,  자치단체는 연간 판매계획을 세워 1월부터 10% 할인 판매를 시작할 예정이다.

    ※ 발행 지자체 : 18 66개 → ‘19 172개 → ‘20 230개 → ‘21 231
발행 규모   : 18 0.1조 → ‘19 2.3조 → ‘20 9.6조 → ‘21 15

  지역사랑상품권은 지자체  은행이나 별도의  등을 통해  100만원 한도로구매할  있으며 지역  음식점, 병·의원, 학원  소상공인 가맹점에서 사용할  있다.

<② 청년일자리, 지역공동체일자리 등 대상별 맞춤형 일자리 창출>

 , 저소득층, 취약계층  대상별 맞춤형 일자리 4 4천여 개를 만들어 지역경제 활성화를 도모한다. 

  실업과 취업난 등으로 일자리를 찾기 어려운 청년과 지역기업을 연계하는 ’지역주도형 청년일자리사업‘에 2350 원을 투입하여 2 6천명 규모로 추진할예정이다.

   - 참여자들에게는 인건비와 전문교육, 맞춤형 컨설팅 등이 제공되며,  지자체에서1월부터 모집을 시작한다. 

  또한, 지역의 취약계층*에게 일자리를 제공하여 공동체 회복을 도모하는 ‘지역공동체일자리’에 국비 385 원을 지원하여 95 명을 모집한다. 

    * 기준중위소득 65% 이하이면서 재산 2억원 이하인 가구의 구성원

 

  올해 상반기에는 공공청사, 대중교통시설을 포함한 주민 다중이용시설을 중심으로 발열체크‧소독  생활방역을 지원하는 ‘지역방역일자리’에 254 원을 투입하여 8600명을 모집한다. 

  지역공동체 일자리와 지역방역일자리 참가자들은 최저임금(시간당 8,720) 4 보험에 가입하게 되며, 올해 12 중순 이후부터  자치단체 누리집(홈페이지)  주민센터 등을 통해 내년도 사업 참여자 모집을 시작할 계획이다.

    ※ 구체적인 모집일정은 지자체별로 상이

<③ 청년마을 전국으로 확대하여 지역의 새로운 성장동력 제공>

 수도권으로 청년들이 이동하면서 소멸지역으로 지정된 지방과 청년을 잇는 ‘청년마을사업’에도 77 원이 투입된다. 

 청년마을은 지난 2018년부터 매년 1곳씩 지정되어 3곳이 시범 운영 중이며, 시행착오 등을 보완해 내년에는 지방소멸지역* 대상으로 12곳을 추가 선정해 확대 운영된다. 

   * 지방소멸지역(경북 의성 등 전국 105) *한국고용정보원(`20) 

  행안부는 공모를 통해 지역 정착을 희망하는 청년단체나 청년기업 12곳을 선정(20211~3 예정) 하고 1곳당 6 원의 사업비를 지원한다. 

  청년마을은 유휴공간을 활용한 거점센터와 주민협의체를 운영하며디지털 기술을적용한 원격 라이프스타일형, ▴대안  생태교육을 기반으로 하는 전환교육형, ▴문화·예술 청년들이 주도하는 문화창조형, ▴식음료(F&B)·특화작물  지역산업형, ▴스마트시티  혁신기술형, ▴친환경 에너지자립형 등의 6가지 사업유형 원하는 사업모델을 선택해 추진하게 된다. 

 

출처 : 행정안전부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

댓글